반응형
석탄의 도시 태백은 고속라인이 없다. 그래서 따로 고속터미널도 없으며 모든 차량들이 시외로 운행되고 있다.
태백은 석탄으로도 유명한 곳이다.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 자원 중 우리나라가 거의 유일하게 자급할 수 있는 자원이다. 지금도 시골뿐만 아니라 도시의 빈민가에서는 석탄을 사용하고 있다. 드라마 1988에서도 나왔다시피 전국이 석탄을 사용했었는데, 지금은 기름에서 가스로 빠르게 바뀌었다. 그러다보니 국내 매장량이 좀 더 늘어나지 않았을까싶다. 전남에도 화순지역이 대표적인 석탄가인데, 어릴 때부터 구례를 갈 때마다 그 모습을 생각하면 많이 쇠퇴했었다. 아마 태백도 그러지 않을까싶다.
지도를 볼 때 주로 나주 지역을 보다보니 색깔이 연한색이었는데, 태백같이 고지역은 진한색이라 네이버측에서 디자인을 변경했나?싶었다. 그래서 그런지 이쪽은 또한 고랭지배추도 크게 하는 것 같다. 이상하게 삼척도 그렇지만 고착화가 되어서 그런지 지역명이랑 그쪽에서 나오는 자원이랑 되게 매치가 되는 것 같다. 예를 들어 강릉=석탄? 안어울리듯이...
지난 1월 11일부터 다음유입이 현저하게 낮아졌다. 아무래도 계속해서 동일지역명이 들어가서 그런 것 같다. 그러므로 앞으로 버스시간표 및 올림픽 기간이 끝난 후에 새 카테고리인 철도시간표 작성할 때에는 특별한 사항이 없다면 지역명을 언급하지 않겠다.
태백의 경우 동서울행이 고한만 정차하고 다이렉트로 가는 경우가 있으며 완행의 경우 3시간이 넘는 차량으로 움직이므로 시간대를 잘 확인하고 탑승하길 바란다.
반응형
'고속·시외버스시간표 > 강원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장평/진부/평창/횡계 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(18년 02월 11일) (0) | 2018.02.12 |
---|---|
속초시외버스터미널 고속버스터미널 시간표 (0) | 2018.02.09 |
동해공영버스터미널 시외버스 시간표 요금표 (18년 01월 30일) (0) | 2018.01.30 |
삼척시외버스터미널/고속버스터미널 시간표 (18년 01월 13일) (0) | 2018.01.29 |
춘천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요금표 (18년 01월 10일) (0) | 2018.01.24 |